[클라우드] 클라우드 용어 정리 (1)

오진선·2025년 1월 4일
0

Cloud

목록 보기
14/17
post-thumbnail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온프레미스 (On-premise)

  • 전용 하드웨어 또는 회사의 기존 데이터 센터 인프라가 지원하는 단일 테넌트 환경.
  • 성능에 민감한 워크로드는 클라우드 전용 데이터 웨어하우스보다 온프레미스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배포에 더 적합

온프레미스 장점

  • 대기 시간이 낮은 로컬 성능
  • 완전한 기술 스택 제어
  • 인프라에 대한 물리적 액세스
  • 데이터 센터 자산 보존

온프레미스 단점

  • 높은 하드웨어 비용 및 감가상각
  • 상대적으로 제한된 탄력성
  • 기업은 오류 및 보안 사고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집니다.
  • 최첨단 애널리틱스 기능에 대해 낮은 액세스
  • 지원 종료 및 교체로 인한 문제

클라우드

  • 클라우드 공급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조직과 인프라,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조합을 공유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데이터 볼륨이 증가하고 데이터 소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적응할 수 있는 방대한 리소스와 유연성을 제공
  •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성장률은 주로 데이터 애널리틱스 프로젝트로 인해 향후 2년 동안 4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
  • 과도한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여러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리소스에 연결할 수 있는 최신 데이터 플랫폼이 지원되는 일관된 전략이 필요

클라우드 장점

  • 엄청난 확장성과 탄력성
  • "종량제" 가격 책정 모델
  • 공급자가 가동 시간, 가용성 및 보안의 일부 측면을 담당
  • AI 및 머신 러닝과 같은 혁신으로 빠르게 확장되는 기능 세트

클라우드 단점

  • 일부 워크로드에 과도할 수 있는 대기 시간
  • 주문형으로만 청구되는 경우 예측할 수 없는 가격 책정
  • 가변성/일정한 활용도 없이 워크로드에서 가장 비용 효율이 떨어짐

하이브리드

  • 하나 이상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고객 환경에서 실행되는 단일 테넌트 데이터 플랫폼에 연결하여 퍼블릭 클라우드를 온프레미스 인프라와 결합한 방식
  • IT 리소스, 서비스, 기능 통합
  • 수평 확장 및 프로비저닝 자동화
  • 환경 간의 자유로운 워크로드 이동
  • 프로세스 조정 및 통합 관리 제공
  • 프라이빗 및 퍼블릭 클라우드는 물론 에지 위치에서 애플리케이션 배포 자동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장점

  •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할 위치와 하이브리드 컴퓨팅을 수행할 위치를 결정 가능
  • 향상된 성능 및 감소된 지연 시간
  • 가장 적합한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
  • 데이터 센터 비용을 늘리지 않고도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확장 가능
  • 기존 인프라를 확장하거나 대체할 필요 없이 AI 및 머신러닝과 같은 최신 기술을 활용 가능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단점

  • 사내 하드웨어와 필요한 추가 소프트웨어 및 도구에 투자 및 유지보수 필요
  • IT팀과 비즈니스 사용자 모두에게 새로운 기술 전문성이 필요
  • 클라우드 환경의 복잡도 상승
  • 데이터 전송 동기화가 어려움
profile
₍ ᐢ. ̫ .ᐢ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