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Unity의 Post Processing Stack은 렌더링이 끝난 화면에 여러 가지 시각 효과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게임의 분위기나 몰입감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사전 설정
포스트 프로세싱을 사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설정이 필요하다.
-
패키지 설치
Window > Package Manager
→ Post Processing
설치
-
카메라 설정
- 카메라에
Post Process Layer
컴포넌트 추가
Layer
를 새로 만들어 "PostProcessing" 등으로 지정
-
볼륨 오브젝트 생성
- 빈 오브젝트에
Post Process Volume
컴포넌트 추가
Is Global
체크 → 전역 효과 적용
- 새 프로파일 생성 후 원하는 효과 추가
주요 효과 예시
- Depth of Field (DOF)
Depth of Field는 특정 거리의 오브젝트만 선명하게 보이게 하고, 그 외의 영역은 흐릿하게 처리하는 효과다. 주로 인물이나 특정 오브젝트를 강조할 때, 또는 영화 같은 연출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초점 거리나 조리개 값 등을 조절해서 원하는 심도 효과를 줄 수 있다.
- Vignette
Vignette는 화면 가장자리를 어둡게 만들어서 시선을 자연스럽게 중앙으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 게임 분위기를 강조하거나, 체력 저하 같은 특별한 상황을 표현할 때 자주 활용된다. 효과의 강도나 부드러움 등도 조정할 수 있다.
- Bloom
Bloom은 밝은 부분에서 빛이 번지는 듯한 효과를 주는 기능이다. 조명이나 마법, 하이라이트 등에서 사용하면 신비로운 느낌을 쉽게 연출할 수 있다.
- Color Grading
Color Grading은 전체적인 색감이나 밝기, 채도, 명암 등을 한 번에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다. 분위기를 바꿔야 하거나, 낮과 밤 같은 시간 변화나 특정 감정을 강조하고 싶을 때 많이 쓴다.
- Motion Blur
Motion Blur는 움직임이 빠를 때 잔상처럼 흐려지는 효과를 준다. 캐릭터나 카메라가 빠르게 움직일 때 속도감이나 역동적인 느낌을 더해준다.
- Film Grain
Film Grain은 화면 전체에 거친 필름 느낌의 노이즈를 입혀주는 기능이다. 고전적인 분위기를 내거나, 일부러 거칠게 표현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 Chromatic Aberration
Chromatic Aberration은 화면 가장자리에서 색이 분리되어 보이는 왜곡 효과다. 현실감보다는 비현실적이거나 혼란스러운 연출, 혹은 레트로한 느낌을 줄 때 어울린다.
마무리
이렇게 다양한 Post Processing 효과들을 잘 활용하면 게임의 연출이나 몰입도를 손쉽게 높일 수 있다. 다만, 과도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게임 플레이에 방해가 될 수 있으니 상황에 맞게 적당히 조절해서 쓰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