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0번부터 n - 1번까지 n명의 학생 중 3명을 선발하는 전국 대회 선발 고사를 보았습니다. 등수가 높은 3명을 선발해야 하지만, 개인 사정으로 전국 대회에 참여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어 참여가 가능한 학생 중 등수가 높은 3명을 선발하기로 했습니다.
각 학생들의 선발 고사 등수를 담은 정수 배열 rank와 전국 대회 참여 가능 여부가 담긴 boolean 배열 attendance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전국 대회에 선발된 학생 번호들을 등수가 높은 순서대로 각각 a, b, c번이라고 할 때 10000 × a + 100 × b + c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3 ≤ rank의 길이 = attendance의 길이 ≤ 100
rank[i]는 i번 학생의 선발 고사 등수를 의미합니다.
rank의 원소는 1부터 n까지의 정수로 모두 서로 다릅니다.
attendance[i]는 i번 학생의 전국 대회 참석 가능 여부를 나타냅니다.
attendance[i]가 true라면 참석 가능, false면 참석 불가능을 의미합니다.
attendance의 원소 중 적어도 3개는 true입니다.
입출력 예
rank attendance result
[3, 7, 2, 5, 4, 6, 1] [false, true, true, true, true, false, false] 20403
[1, 2, 3] [true, true, true] 102
[6, 1, 5, 2, 3, 4] [true, false, true, false, false, true] 50200
풀이 :
def solution(rank, attend):
student = [(i,ranking) for i,ranking in enumerate(rank) if attend[i]]
participate_student = sorted(student,key = lambda x : x[1])
top3 = [x[0] for x in participate_student[:3]]
return 10000 * top3[0] + 100 * top3[1] + top3[2]
첫번째 풀이에
student = [(i,rank[i]) for i in range(len(rank)) if attend[i]]
이렇게 풀었으나 enumerate 를 사용하는게 좀더 좋아 보여서 바꾸었다.
sort 함수 사용시 key함수를 사용하여 정렬기준을 2번째 값으러 지정 할 수 있음을 알았다.
보통 2차원 배열에서 x[2] 는 2번째 열을 의미하지만 sort() 함수는 기본적으로 첫번째 요소를 기준으로 정렬한다, key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순간 key lambda x: x[y] 는 y번째 요소를 기준으로 정렬하겠다고 된것이다.
즉 sort 함수 특징을 잘 생각하자.
딕셔너리의 경우도 동일하게 사용 할 수 있다.
data = {'apple': 5, 'orange': 2, 'banana': 8}
# 값(value)을 기준으로 정렬
sorted_data = sorted(data.items(), key=lambda x: x[1])
print(sorted_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