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yperText Markup Language
- HyperText : 하이퍼 링크를 통해 어떤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접글할 수 있는 텍스트
- Makrup : 표시하다
- HTML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웹페이지의 콘텐츠를 정의하는 언어
Web : 컴퓨터들 간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네트워크 시스템
웹사이트는 만들때 필요한 언어가 HTML & CSS
현재 HTML5 까지 발전되어 와서 웹 개발 표준
HTML 코드는 텍스트, 따라서 작성할 때는 메모장으로 대표되는 텍스트 편집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해 HTML 문서를 만들어야 한다.
HTML 문서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른 형태로 열린다는 특징이 있다.(어떤 프로그램을 여냐에 따라 랜더링을 마친 상태로 열림)
웹브라우저 : 웹브라우저는 HTML 문서를 가져다 그 내용을 해석하고,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파일생성 : sample.html
브라우저에 만든 html 문서 올리면 뜸, 에디터에서 열면 수정가능, 웹브라우저에서 열면 수정 불가
live server: 에디터에서 바로 열 수 있게 해주는 플러그인, html 문서에서 저장할 때마다 바로바로 반영이 됨, 밑에 GO Live
live server 에서 열면 127.0.0.1 , 포트 눌러주면 꺼짐
- HTML은 웹페이지의 어느 부분에 텍스트가 있어야할지, 어느 부분에 이미지가 있어야 할지 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함. HTML은 '태그'라 불리는 표기법을 사용해 맡은 역할을 수행
- 태그의 이름(이름명)
- 여는 태그(시작태그)
- 닫는 태그(끝 태그)
- 콘텐츠
태그
<태그명>(여는태그)콘텐츠(태그가 표시할 컨텐츠 내용)</태그명>(닫는태그) : 태그의 기본형태
<태그명> <태그명/> : 콘텐츠가 없어 콘텐츠 생략이 가능할때 단일테크그를 사용함
태그 작성법
속성(Attributes)
<태그명 속성="값">콘텐츠</태그명> 속성 : 속성명, 값 : 속성값
<태그명 속성="값" 속성2="값">
속성 구분 기준 공백
주석 : 사람에게는 보이지만, 컴퓨터(웹브라우저)에게는 보이지 않는 코드
<!-- 주석의내용 -->
;<!DOCTYPE html>
<html> <!-- head와 body 를 합셔처 html을 구성하는게 목적 -->
<head>
<meta charset="utf-8"
<title>문서의정보</title>
</head>
<body>
<strong><p>화면에 표시될 내용</p></strong>
</body>
</html>
요소의 구분
인라인 텍스트 요소 :
<mark>
마크 텍스트 요소 - 형관펜 효과</mark>
: 형광펜 색칠<strong>
스트롱 텍스트 요소 -볼드 효과</strong>
: 강조<em>
em 텍스트 요소 -이탤릭체 효과</em>
: 글자 휘어짐<q>
인용구 효과</q>
: " " <s>
취소선 효과</s>
: 취소선 --- 효과컨테이너 : 개발자 도구로 보면 이컨테이너에 뭐가있는지 알 수 있다. , 가독성이 좋아짐
<div></div>
: 블록 컨테이너 : 개발자 도구로 보면 이컨테이너에 뭐가있는지 알 수 있다.<span></span>
: 인라인 컨테이너 : 특정 영역에 구분해 줄 때 사용전역 속성(Global attributes)
이미지 표시하기
<img src="url">
<body>
<img
src="imges/화장실.png"
alt="대전의 랜드마크 한빛탑과 맞은편 엑스포 다리"
width="1000"
> <!--같은 폴더 안에 있으면 이미지 이름 파일명만 적으면 됨 아니면 url 작성, 자동 크기조절, 그림있으면 안보임-->
</body>
<a href="https://www.youtube.com">
내용 유투브로 이동하고 싶어요</a>
: 링크, href 특성이 필요함<a href="url" target="_self">
현재 텝에서 열기 </a>
, 갈곳 없으면 그냥 # href 에 써놓는게 일반적a href="url" target="_blank">
새 텝에서 열기 </a>
<ul></ul>
: 순서 없는 목록, (Unordered List)<ol>\</ol>
: 순서 없는 목록, (Ordered List)<li>\</li>
: 목록에 들어가는 항목 하나하나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 항목들을 감싸는 태그가 무엇이냐에 따라 기호가 달라진다.셀에 표시된 콘텐츠의 성격이나 표의 구조에 따라 셀을 그룹으로 묶어 관리가능.
<table></table>
: 하나의 표를 나타내는 태그<tr></tr>
: 표 안에서 하나의 행을 나타내는 태그<th></th>
: 행 안에서 제목에 해당하는 셀을 나타내는<td></td>
: 행 안에서 콘텐츠에 해당하는 셀을 나타내는 태그<caption></caption>
: 태이블 테그의 안쪽에서 제목 또는 표에 대한 설명을 하는 역할, 기본적으로 가운데 정렬
<thead></thead>
: 표의 제목이나 주제를 나타내는 영역<tbody></tbody>
: 표의 본문<tfoot></tfoot>
: 표의 요약글이나 맺음말을 나타내는 영역<table border="1"> <!--테이블 테두리의 굵기-->
<caption>
마라톤 참가선수 명단
</caption>
<thead>
<tr>
<th>한국선수</th>
<th>일본선수</th>
<th>미국선수</th>
</tr>
</thead>
<tbody>
<tr>
<td>한국선수</td>
<td>오오다</td>
<td>제임스</td>
</tr>
</tbody>
<tfoot>
<tr>
<td>세계 랭킹 5위</td>
<td>세계 랭킹 8위</td>
<td>세계 랭킹 12위</td>
</tr>
</tfoot>
</table>
<input type="데이터 유형">
: input의 핵심은 type의 속성이다.<label for ="teen">10대</label>
<input type="radio" id="teen" name ="age">
<label for ="twenty">20대</label>
<input type="radio" id="twenty" name ="age">
<label for ="thirty">30대</label>
<input type="radio" id="thirty" name ="age">
<label></label>
: 입력 요소에 라벨을 붙이는 역할. 이를 이용하면 웹 이용자에게 직관적인 입력 요소를 제공가능<select>
, multiple : 여러개고르기, selected :제일먼저보여질것, size :몇개 보일지<option value="coffee" selected>커피\</option><br>
<option>콜라\</option><br>
<option>쥬스\</option><br>
</select>
<textarea cols="10" rows="6"></textarea>
<progress>
<progress value="60" max="100"></progress>
<button>
<input type="button" value="PUSH">
<button>PUSH\</button>
<fieldset></fieldset>
<legend></legned>
: 묶은것 이름 넣을 수 있음 <body>
<h1>로그인 해주세요</h1>
<label>
아이디
<input type="text" placeholder="아이디">
</label>
<label for="pw">비밀번호</label>
<input type="password" id="pw" placeholder="비밀번호">
<hr>
<input type="color">
<input type="number">
<label>
<input type="checkbox"> 제육볶음
</label>
<input type="range">
</body>
- 입력 양식을 만들어주는
<form>
태그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는것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태그, 서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 로그인 페이지
- 회원가입 페이지
- 검색어 입력 페이지
- 서버란 정보를 제공하는 host
<form>
: 입력 요소들을 감싸며, 입력 값을 서버측으로 제출할 수 있다.
이름을 지어주세요 name=""
<input type="submit">
: form 에서 입력한 내을 보내는 역할
name 식별자 마지막으로 꼭 작성 서로다른 이름 각 입력에, 서버가 식별하는 것
<body>
<form action="none.com" method="post">
<label for="name">이름</label>
<input id="name" type="text" name="name">
<br>
<label for="age">나이</label>
<input id="age" type="number" name="age">
<br>
<label for="character">성격</label>
<textarea id="character" name="chßracter">
</textarea>
<br>
<input type="submit">
</form>
</body>
<meta>
: HTML 문서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정의
<meta>
유형, 속성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IE 브라우저 최신 버전의 엔진을 사용한다는 의미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10">
: 새로고침 을 10초마다 한다는 의미<meta name="author" content="페이지 작성자">
<meta name="description" content="페이지 요약 정보글">
<meta name="keywords" content="공부, 코딩, IT, 학습">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author" content="김병학">
<meta name="description" content="연습용 페이지">
<meta name="keywords" content="공부, html, 실습">
<title>문서 정보 관리하기</title>
</head>
- 개발자 도구를 통해 인라인인지,블록레벨인지 구분 가능 : 설정 -> 도구더보기 -> 개발자 도구
- 엔터를 이용한 줄바꿈을 무시
- 스페이스를 이요한 공백을 한번씩만 허용(여러번 스페이스바 눌러도 1번 누른것으로 처리)
- 공간이 남아도 태그가 새로 추가될 경우 줄바꿈이 되어 그다음 줄에 입력됨
<p></p>
: 문단 요소, 텍스트 단락을 나타냄, 문단과 문단 사이에는 여백이 존재
<h>
: h태그는 제목(표제) 요소를 나타내는 태그. 숫자와 함께 사용되며, 숫자 1일떄 가장크고 6일때 가장 작다.
<hr>
: 콘텐츠가 없을떄 사용하는 태그, 수평선을 나타냄, 주제 변경, 내용 구분
<p stlye="color:red;" id="text">여러분 안녕하세요</p>
들여쓰기는 여는태그 마지막엔터 끝 태그 앞에 엔터쳐서 사이에 들여쓰기를 사용해서 사용 가독성 좋음
<br>
: 줄바꿈,엔터(breakline)
 
; : 공백을 2번이상 줄떄 사용
©
; : ©
저작권 모양
<meta cahrset="utf-8">
: 화면에 문서가 렌더링 되기전에 브라우져가 문서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문서의 인코딩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 pc에 따라 다른 인코딩방식을 맞춰주는것
<title>
문서의제목</title>
: 문서의 탭에 표기됨 (헤드에 주로 사용)
<a href="https://www.youtube.com">
내용 유투브로 이동하고 싶어요</a>
: 링크, href 특성이 필요함
<a href="url" target="_self">
현재 텝에서 열기, 안적으면 기본값이 _self임 </a>
<a href="url" target="_blank">
새 텝에서 열기 </a>
<a>
: 는 내가 만들어 놓은 폴더의 다른곳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a
target="_blank"
href="../1회차/profile.html"
>
<ul></ul>
: 순서 없는 목록, (Unordered List)<ol></ol>
: 순서 없는 목록, (Ordered List)<li></li>
: 목록에 들어가는 항목 하나하나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 항목들을 감싸는 태그가 무엇이냐에 따라 기호가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