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이드는 GitHub 등 원격 Git 리포지토리를 로컬에 클론한 후, 특정 브랜치(예: development)에서 작업을 시작하고 관리하는 단계를 요약합니다.
GitHub를 활용한 협업 개발에서 Pull Request(이하 PR)는 필수적인 절차입니다. 본 글에서는 PR의 개념, 사용하는 이유, 그리고 실제 작업 흐름에 대해 정리합니다.
.gitignore를 활용해 Git에 올리지 않도록 처리한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Git 명령어와 핵심 개념을 쉽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다음은 브랜치 작업 중 발생한 문제와 해결 과정에서 알아둬야 할 핵심 포인트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프로젝트 전체를 되돌리지 않고, 특정 파일만 과거 버전으로 복원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이 게시글은 Git에서 특정 커밋으로 프로젝트를 되돌리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git reset은 이력을 지우며 강제로 과거 상태로 복원하고, git revert는 새로운 되돌림 커밋을 생성해 안전하게 롤백합니다.
checkout, restore, reflog를 활용한 되돌리기 전략Git으로 작업하다 보면 잘못된 변경을 되돌려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때 checkout, restore, reflog 세 가지 명령어를 알면 대부분의 상황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git commit --amend 와 git rebase -i 완벽 가이드커밋 메시지를 잘못 작성했거나, 오래된 메시지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Git에서는 \*\*amend\*\*와 rebase -i 두 가지 명령어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Git이 메시지
이번 글에서는 커밋을 깔끔하게 관리하는 방법(squash, cherry-pick)과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브랜치 전략(Git Flow, Trunk-based)을 함께 다룹니다.
"Git에서 Pull Request 리뷰 시 꼭 알아야 할 베스트 프랙티스"를 처음하는 개발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하고 실무적으로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Git PR 리뷰 자동화 도구(Linter, SonarQube, GitHub Actions) 활용법"을 실무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CI가 뭔지, GitHub Actions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전체 동작 흐름을 차근차근 정리합니다.